주요 품종 특성
구 분 |
남 작 |
수 미 |
대 지 |
세 풍 |
조 풍 |
남 서 |
대 서 | |
수확 시기 |
조생 |
조생 |
춘작:만생 추작:조생 |
중생 |
조생 |
조생 |
춘작:조생 하작:중생 | |
줄기 길이 |
40㎝ |
61 |
81 |
51 |
52 |
50 |
57 | |
감자 모양 |
넓적한 원 형 |
넓적한 원 형 |
넓적한 원 형 |
장타원 |
넓적한 원 형 |
넓적한 원 |
넓적한 원 형 | |
껍질 색깔 |
담황색 |
담황색 |
담황색 |
백색 |
담황색 |
유백색 |
담황색 | |
병견딜성 |
역 병 |
약 |
약 |
약 |
약 |
강 |
강 |
중 |
바이러스 |
약 |
약 |
강 |
약 |
강 |
중 |
중 | |
수 량 (㎏/10a) |
2,452 |
2,654 |
춘작:2,956 추작:2,359 |
3,330 |
3,265 |
춘작:3,093 추작5,003 |
춘작:2,991 하작:2,771 | |
재배 작형 |
봄, 여름 |
봄,여름(가을) 겨울 |
봄, (여름)가을 겨울
|
봄, 여름 |
봄, 여름(가을) 겨울 |
봄, (여름) (가을) 겨울
|
봄, (여름) (가을) 겨울
| |
휴면기간 (일) |
90∼100 |
80∼90 |
50∼55 |
80∼90 |
70∼80 |
60∼65 |
80∼90 | |
용도 |
식용 |
겸용 |
식용 |
가공용 |
겸용 |
식용 |
겸용 | |
기타 특성 |
기형감자발생이 잘됨 |
더뎅이병에 강함 |
더뎅이병 에 약함 |
흑지병에 강함 |
싹잘나옴 |
조기재배및 시설재배용 |
감자속에 갈변유의 | |
※ ( )는 준적응품종이며 겨울재배는 시설재배임 |
씨감자 준비
■ 씨감자 소독
○ 종서 소독제 : 메로닐분제, 토로스수화제ㆍ분제
○ 종처리방법 : 감자 중량의 0.3%∼0.5%에 굴려서 묻혀준다(60∼100g/20㎏)
■ 씨감자 절단
○ 절단 전에 반드시 칼 소독 실시
○ 쪽당 30∼50g이 되도록 2∼3등분한다.
○ 정아부에서 기부쪽으로 잘라야 세력이 균일해진다.
○ 쪽당 1개 이상의 눈이 있어야 하고, 기부의 1/5을 남기고 절단한다.
○ 절단면 치유 : 온도 17-18℃, 습도 70∼80%(3∼7일간 보관)
○ 칼의 소독은 크로락스 100배액 또는 끓는 물에 침지
봄재배 요령
■ 싹틔움(욕광최아)
○ 시기 : 아주심기 예정일로부터 약20∼25일전
○ 산광최아 적온 :15-20℃
※ 온도가 28∼30℃이상 고온이 계속되면 흑색심부병이 발생하기 쉽다.
○ 산광최아에 알맞은 광의 밝기는 실내 산광(散光)이다.
○ 봄감자 산광최아 적정기간 : 수미 → 25일, 대지 → 35일
○ 산광최아시 알맞은 싹길이 : 수미 → 10㎜, 대지 → 20㎜
<잇 점>
-건조하고 따뜻한 산광조건하에서 싹이 짧고 굵게 자라도록 발달시킨다.
-감자싹의 조직이 치밀하고 흑지병 병원균 침입을 방지한다.
-초기생육이 촉진되어 덩이줄기의 착생과 비대기가 빠르다.
<효과>
구 분 |
출현일수(일) |
개화시초장(㎝) |
수 량(㎏) |
수량지수(%) |
산광최아 |
25 |
42.8 |
4,322 |
123 |
무 최 아 |
34 |
51.7 |
3,521 |
100 |
■ 아주심는 방법
○ 심기 직전 감자밭 골을 타고 심는다.
○ 심는거리 : 이랑폭 90㎝(이랑폭 120~140㎝ , 조간거리 40 x 주간거리 30cm)
○ 시 비 량 : 10-10-12㎏/10a(실량 : 요소 23, 용과린 50, 염가 20㎏/10a)
■ 조기재배(육아재배) 방법
○ 싹틔움상 설치시기
- 아주심기 예정일로부터 약20∼25일전에 설치한다.
- 3월 상ㆍ중순에 치상하여 3월하순-4월상순에 아주심기 한다.
- 재배지역에 따라 늦서리 피해가 적은 곳은 일찍 심는다.
○ 싹틔움상 설치방법
- 10a당 약 20㎡(6∼7평)이 필요하며
- 북서풍이 막히고 햇빛쪼임이 좋으며 물빠짐이 좋은곳에 설치한다.
○ 설치요령
- 땅을 20㎝ 깊이로 파고 → 맨 밑바닥에 볏짚 또는 왕겨를 3∼5㎝ 두께로 깐다 → 상토를 7∼8㎝ 넣는다 → 씨감자절단 치유후 닿지않게 놓는다 → 상토를 1㎝ 정도 씨감자가 보이지 않도록 덮어준다.
○ 아주심기
- 감자 싹길이는 3∼5㎝로 뿌리 발달이 왕성한 것이 좋고
- 이랑은 아주심기 1일전, 당일에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봄철은 건조하여 토양수분 부족으로 활착이 좋지 않아 저온에 견디는 힘이 약하여 늦서리 피해를 받기 쉽다.
- 싹틔움상에서 모 채취시 물을 주어 뿌리절단을 예방한다.
- 이랑나비는 1줄보다 2줄로 심는 것이 수확량이 많으며 1줄로 심을 때는 60∼75㎝로 하고, 2줄로 심을 때는 40∼50㎝가 알맞으며 포기당 간격은 20∼30㎝가 적당하다.
- 감자싹이 묻히도록 10∼12㎝ 두께로 흙덮기를 하고 땅고르기를 한 다음 전용 잡초약을 사용한다.
- 비닐멀칭은 두께 0.02∼0.03㎜ 비닐로 땅에 밀착되도록 팽팽하게 해야 잡초발생이 적고 싹에 상처를 주지 않는다.
■ 파종 후 관리
○ 심은 후 1주일경부터 비닐에 구멍을 뚫어 싹의 끝에 고온피해를 받지 않도록 유의하되 늦서리 피해 염려시에는 “_”자 찢기로 피해를 예방한다.
○ 싹이 거의 올라오면 뚫었던 비닐을 덮어주어 잡초발생을 억제하고 온도와 토양수분이 보존되도록 한다.
○ 생육중에 건조할 때는 수시로 물대어 주면 다수확 할 수 있다.
<봄감자 재배 문제점 및 대책>
○ 파종후 출현기까지 저온과 건조로 출현 지연
- 씨감자를 충분히 산광최아하여 파종
- 경운직후 파종하고 곧바로 비닐멀칭
- 광폭고휴 2열 재식으로 이랑의 토양용적을 크게함
○ 생육 중기 건조로 괴경비대 저해 수량감소
- 관수(개화기 이전에만 실시) 및 배수철저
○ 괴경성숙기 이후 고온다습으로 품질저하 및 괴경부패
- 배수철저, 조기수확(장마기 이전에 수확)
○ 6∼7월 홍수출하되어 가격폭락 농가소득 감소
가을재배 요령
■ 파종기 및 품종
○ 파종적기 : 7월하순∼8월하순경
○ 적정품종 : 휴면이 짧은 2기작 품종(대지) 선택 재배
■ 씨감자 싹틔우기
○ 최아상 설치시기
- 중부지방 : 7월하순, 남부지방 : 8월상순경
○ 최아상 설치방법 : 최아상은 주위보다 높게 밭을 고른후 깨끗한 모래에 씨감자를 절단면이 밑으로 향하게 놓고 모래로 덮는다.
※ 씨감자는 절단직후에 치상한다.
- 적정최아 시간 : 10∼15일
■ 파종 및 아주심기
○ 파종적기
- 중부지방 :8월 상ㆍ중순, 남부지방 : 8월 중ㆍ하순
○ 이랑 : 동서방향으로 설치(씨감자 부패 방지)
○ 재식밀도 : 70×20㎝ (6,600주/10a)
- 봄재배보다 약간 베개 심음
○ 시비기준(N:P:K-퇴비 = 15-10-12-1,500∼2,000㎏/10a)
- 시비실량 : 33(요소) - 55(용과린) - 20㎏/10a(염화칼리)
■ 북주기 및 제초
○ 북구기 작업(2회)
- 1회 북주기 : 아주 심은 후 10~15일
- 2회 북주기 : 1회 북주기 후 15일정도 지난 후
※ 북주기 작업은 개화최성기 이전에 완료한다.
■ 수확작업
○ 수확작업은 따뜻한 날에 실시해야 된다.
- 추우면 감자가 갈라짐
○ 수확후 창고 등에 저장하고, 거적을 덮어 상처치유 및 동해를 방지한다.
<가을감자 재배 문계점 빚 대책>
○ 파종기에 고온다습으로 씨감자가 부패하여 입모율 저조
- 산광최아(육아) 정식
- 씨감자는 통감자 파종이 좋으며 절단시는 절단면 치유후 파종
○ 품종의 제한 : "대지"가 유일한 품종
○ 경수확보 곤란
- 충분히 산광최아
○ 생육 중기 건조와 토양 물리성 악화
○ 생육기간 확보곤란
- 육아정식, 조기파종
- 초상피해 경감(연무) → 7일 정도 생육지연
병해충 방제 및 생리장해
■ 병해충 방제
구 분 |
병 모 양 |
잘 발생되는 이유 |
방 제 요 령 |
엽권바이러스 (잎말림바이러스) |
○어린잎의 색깔이 퇴색되고 잎의 기부가 안쪽으로 말리는 경우와 ○잎이 숟가락 모양으로말리고 상 위 엽 의 담록색 또는 황화현상이 나타남 |
○진딧물에 의해 전염되는 영속성 바이러스 특히 복 숭 아 혹 진 딧 물 이 주로 매개 ○농기구에 의한 전염 |
○무병건전씨감자 사용 ○진딧물 방제 ○일찍 심기 ○병걸린 포기제거 - 칼과 씨감자 소독 |
위축바이러스(오갈병) |
○연엽형(남작) : 잎의 오글오글 증상 ○괴저형(대지) : 엽맥에 괴저증상 |
○진딧물에 의한 전염 ○인위적인 즙액전염 |
○무병종가 사용 ○저항성 품종선택 ○병걸린포기 제거 ○진딧물 방제 |
역 병 |
○잎 : 초기에 작은 부정형 병반. 병반이 커지며 흑자색의괴사반점, 잎뒷면에 흰가루가 생김 ○줄기 : 모든 잎이 말라죽고 줄기만 남음 ○감자 : 표면에 적갈색반점 움푹해짐, 육질부 갈변 부패 |
○균사상태로 씨감자에 부착되어 월동한후 다음해 발병 ○6월하순경부터 발생하며 온도 15℃이상, 습도85%, 7일간 30㎜이상 강우시 발생이 많음 |
○무병 건전씨감자 사용 ○저장전 병걸린 감자없애기 ○약제살포 -리도밀골드엠지 -미리카트 -산도판수화제 -포룸, 포룸디수화제 등 |
절편부패병 |
○절단면의 갈색, 회색,흑색반점 ○짓물러지거나 쭈그러지고 움푹 들어가며 곰팡이가 생김 |
○자른 부분의 상처에서병균 침입 |
○자른 상처치유 ○깨끗한 상토사용 ○태양노출 금지 ○씨감자 소독 |
더뎅이병 |
○지하부감자에 발생 껍질에 갈색의 더뎅이반점이 생기고 흑갈색이 된다. |
○건조한 사질토양 알칼리성 토양에서 많이 발생 |
○다이센엠-45 분의소독 ○산도조정 ○윤작 ○완숙퇴비사용 |
무 름 병 |
○잎은 수침상 암록색, 줄기내부 연화부패 괴경은 회갈색 악취 |
○토양전염, 질소과다,고온다습 할 때 많이 발생됨 |
○배수 및 병든 포기 제거 ○균형 시비 ○전염원 제거 |
■ 생리장해
장 해 별 |
증 상 |
방 지 대 책 |
갈색심부 |
○ 가뭄시 사질토에서 발생, 토양수분부족과 기온상승이 원인임 ○ 육질부에 갈색반점이 생기며 맹아력이 떨어지고 육질이 단단함 |
○ 퇴비를 시비기준보다 증시 ○ 심경작업으로 토양 보수력 향상 ○ 적정관수작업 ○ 씨감자는 일찍 수확 |
흑색심부 |
○ 괴경의 중심부 일부가 흑색으로 변색 ○ 0℃ 저온이나 21∼40℃ 이상의 상태에서 산소 결핍되면 발생 감자 중심부에 호흡작용이 안되면 질식사 |
○ 감자 저장 운송시 - 적당한 환기 - 적정 저장온도 유지 - 산소 공급 |
중심공동 |
○ 괴경의 중심에 공동 발생 및 변색 ○ 괴경비대가 급속할 때 심함 ○ 조생종으로 조기 비대시 |
○ 적정 재식거리로 파종 ○ 파종시 입모율을 높임 ○ 적정토양 습도유지 ○ 칼리(K)비료를 웃거름으로 시용 |
2차생장 |
○ 돌출한 눈이나 옆눈 또는 끝눈을 갖는 이상 덩이줄기 발생 ○ 덩이줄기에서 덩이줄기가 나와 2차덩이줄기가 달림 ○ 포장온도가 높거나 가물 때 발생 ○ 양분수분 불균형, 심한온도변화. 저온 및 서리피해에 의해 발생 |
○ 토양성질에 알맞은 적정시비 ○ 수확기 고온지속시 조기 수확 |
수확 및 저장
■ 수 확
○ 수확적기는 잎이 누렇게 변할 때부터 완전히 마르기 직전이다.
너무 일찍 수확하면 수량이 적고 품질이 떨어지며, 늦으면 감자가 썩기 쉽다.
○ 4∼5일간 날씨가 맑고 습하지 않을 때 작업하는 것이 좋다.
■ 저 장
○ 저장용 감자 선택
- 싹이 늦게 트는 품종 : 수미, 남작(대지 제외)
- 가급적 물기가 적은 밭에서 수확한 감사
- 상처 및 병충해 피해가 없는 감자
○ 예비저장
- 2주정도 햇볕이 들지 않고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에 얇게 펴서 말린다.
- 2∼3회 뒤집어서 감자를 말리고 썩은 것은 골라낸다.
- 상처치유 : 온도 12∼18℃, 습도 80∼85%
○본 저 장
- 싹 발생억제 온도 : 4℃
- 괴경 동결온도 : -1.5∼-3℃이하
■ 저장중 관리
○ 수시로 관찰하여 저온(0℃) 피해방지
○ 부패감자는 신속히 제거하여 전체 부패방지
○ 충해 및 쥐의 피해방지
☞ 병에 의한 부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 가능한한 건조한 상태로 저장
○ 저장후에는 가능한한 빨리 환기시켜 감자를 건조시킨다.
○ 감자표피가 상하지 않도록 취급주의
○ 저온에서 상처를 치유하도록 저장한다.
'감 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을감자 3년차 (0) | 2012.09.13 |
---|---|
[스크랩] 알칩밸리 로즈밸리 (0) | 2008.07.25 |
[스크랩] 감자재배기술 한가지 (0) | 2007.06.20 |
[스크랩] 감자꽃과열매 (0) | 2007.06.14 |
감자 역병 (0) | 2007.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