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 주변에는 본업이 있으면서 부업으로 농사를 짓는 투잡(two-job) 농부들이 있다. 농사 규모도 수백 평에서 천 평이 넘기도 한다. 20년 넘게 본업과 농사일을 하는 농부도 있고, 이제 농사를 시작한 초보 농부도 있다. 계절이 겨울로 바뀌면서 할 일은 많은데 해가 너무 짧아서 일 할 시간이 부족하다며 주말은 물론이고, 새벽과 저녁에도 이마에 헤드랜턴을 달고 일을 할 정도로 투잡 농부들은 항상 시간에 쫓긴다. 2년차에 들어선 농부가 배추를 비롯한 김장채소의 수확이 끝난 11월 말에 양파를 심어도 되느냐고 물었다.
가을에 심는 양파, 봄에 심어도 된다
그의 밭에는 아직 다 심지 못한 양파 모종이 남아 있었다. 내가 일러준 대로 네모난 검은 플라스틱 모종판이 아닌, 한쪽 밭에 풀씨가 발아하지 못하도록 부직포(신문지 두세 장을 겹쳐서도 가능)를 덮고 그 위에 상토(씨앗으로 모종을 키우는 흙)를 3cm 정도 깔아준 후에 양파 씨를 넣고 모종을 잘 키웠다. 남은 모종을 심기에는 너무 늦었지만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양파 모종을 터널 모양으로 흰 비닐을 덮어서 잎이 얼지 않도록 보온을 해주면 월동을 한다. 다음 해에 봄을 알리는 입춘(立春)을 지나면서 얼었던 흙이 풀리면 양파 모종을 옮겨심어도 제때 수확이 가능하다. 다만, 제때 심은 것보다는 뿌리를 활착하는데 시간이 지체되었기에 크기는 조금 작을 수 있다. 늦게 심은 만큼 모종을 보온한 것처럼 옮겨심은 양파에도 비닐 터널을 만들어주면 성장을 앞당길 수 있다. 4월에 들어서면 비닐을 걷어내고 물을 뿌리까지 내려갈 만큼 충분하게 공급해주면 생육에 도움이 된다.
흙이 풀리는 초봄까지 양파와 마늘은 뿌리만 활착시키고 월동을 하며 땅이 풀리면서 성장한다. 마늘의 싹이 올라오는 때부터 물을 충분하게 주면 마늘과 양파는 겨울잠을 깨면서 잘 자란다. 우수(雨水)절기를 지나면서도 비가 오지 않고 봄 가뭄이 지속되면 충분한 물 주기와 흙이 마르지 않도록 수분유지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는 마늘은 제때 심었지만, 주아(마늘씨앗)는 남았다며 어떻게 하느냐고 물었다. 올해 수확한 마늘에서 채종한 씨앗으로도 심어보라고 권유를 했었는데 주아를 받아둔 것이다. 올해 나의 마늘 농사에도 주아를 많이 심었다. 마늘도 "씨앗이 있느냐"는 말을 듣기도 하는데, 마늘의 성장이 절정으로 달하는 5월경에 꽃대가 올라오면서 꽃이 피고 씨앗이 여문다.
| ▲ 비닐터널은 흙이 얼지 않도록 보온효과가 있다 | ⓒ 오창균 | 관련사진보기 |
음식으로 먹는 마늘종이 꽃과 씨앗
마늘을 조금 더 크게 하려고 마늘종을 뽑거나 잘라내면 마늘꽃과 주아를 못 봤을 수도 있다. 맛있는 마늘종을 포기할 수는 없겠지만, 일부는 남겨서 씨앗을 받아 키워보기를 권한다. 한 개의 주아에는 쌀 톨만 한 씨앗이 10여 개 들어 있다. 마늘을 수확하면서 주아도 함께 채종해서 마늘과 같은 방법으로 보관을 했다가 밭에 일정하게 골을 내서 뿌리는 줄뿌림이나 흩어뿌리고 흙을 덮는다. 주아는 손으로 비비면 씨앗이 낱개로 떨어진다.
주아를 심으면 첫해에는 도토리나 밤톨만 한 한 개짜리 통마늘이 나온다. 통마늘을 다시 심으면 4~6쪽의 쪽마늘을 수확할 수 있다. 주아로부터 시작하여 통마늘에서 쪽마늘 수확까지 3년이 걸리므로 전업농부에게 쉽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씨앗으로부터 만들어졌으니 1세대 씨 마늘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수확한 쪽 마늘은 4~5년까지는 대물림해서 씨 마늘로 사용할 수 있다.
| ▲ 마늘쫑에서 꽃이피고 주아에서는 쌀톨만한 씨앗이 여문다 | ⓒ 오창균 | 관련사진보기 |
| ▲ 주아(마늘씨앗)를 심으면 통마늘이 나오고 이것을 다시 심으면 쪽마늘이 나온다 | ⓒ 오창균 | 관련사진보기 |
주아로부터 씨마늘을 만들지 않고, 몇 세대인지도 모르는 쪽 마늘을 씨 마늘로 계속 사용하면 종자의 본능이 퇴화되어 작아지고 마늘이 가진 맛과 영양, 저장성 등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주아로부터 길러낸 쪽마늘은 알이 굵고 단단하며 마늘 본래의 맛과 향이 다르다는 차이점을 느낄 수가 있다.
추위에 강한 마늘이지만, 제 시기보다 한 달여 늦게 파종하면 뿌리 활착이 불량하므로 안 하는 것이 맞지만, 보온을 해주면 뿌리를 활착하고 제 때에 수확이 가능하다. 방법은 마늘을 보온할 수 있는 볏짚, 왕겨, 톱밥도 있지만 쉽게 구할 수 있는 낙엽도 좋다. 낙엽을 3~5cm정도로 흙위에 두껍게 덮어주고 흰비닐을 낙엽위에 밀착시켜 덮어준다.
| ▲ 마늘을 늦게 심었더라도 보온을 해주면 된다 | ⓒ 오창균 | 관련사진보기 |
흙이 풀리는 봄에 비닐만 걷어내고 낙엽은 그대로 둔다. 낙엽의 효과는 보온과 수분유지뿐만 아니라 풀씨의 발아를 막아주는 효과도 있다. 창끝처럼 뾰족한 마늘잎이 두꺼운 낙엽을 뚫고 사방에서 올라오는 모습이 보이면 새 생명이 싹을 틔우는 봄이 온 것이다.
마늘심는시기, 마늘재배방법(월별) - 마늘밭 만들기 - 씨마늘 준비하기 - 마늘심는방법 - 마늘 계절별 월별 관리재배방법 씨마늘 
쪽빛하늘이다. 밭에서 일하기에 좋은 날씨다. 밭에서 힘쓰는게 남자다. 남자의 한자를 보면 금방 이해가 된다. 사내 남(男) = 밭 전(田) + 힘 력(力) 아무렴, 모름지기 남자나 여자나 밭에서 힘을 쓰는자는 위대하다. ○ 마늘심는시기(한지형) 곧 마늘심는시기가 도래한다. 난지형 마늘을 심는 남부지방에서는 이미 마늘을 심고 있다. 난지형 마늘은 9월 중순~ 10월 상순에 심는다. 중부지방은 한지형 마늘을 심는다. 한지형 마늘심는시기는 10월 상순 부터 10월 중순, 10월 하순, 11월 초순에 심어도 마늘이 자라는데는 이상이 없으나 마늘심는시기의 최적 시기는 10월 중순 ~ 10월 하순이다. 
○ 마늘밭 만들기 마늘 심을 밭을 부지런히 만들어야 한다. 땅콩과 고구마를 수확한 자리에 마늘을 심을 예정이다. 10월 25일 ~ 30일 사이에 마늘을 심을 예정으로 오늘부터 마늘밭 만들기에 들어 간다. 마늘심기 2주전에 석회를 뿌리고, 1주전에 퇴비를 뿌린후에 깊이 갈이를 해준다. 마늘은 뿌리가 곧게 자라니 뿌리 뻗음에 이상 없도록 깊게 삽질을 한다. 김장배추밭 만들때보다 날이 선선하니 삽질하기엔 그만이다. 마늘 심을밭 
마늘 심기 2주전, 고토석회와 유황가루를 섞어 뿌린후 삽질을 한다. 마늘심기 1주일 전에 퇴비를 뿌리고 다시 한번 삽질을 한후에, 마늘 심기 1-2일 전에 버그탄을 뿌리고 흙을 곱게 고른다. 버그탄은 친환경 토양살충제라는데, 김장무나 김장배추밭에는 버그탄을 뿌린후 삽질을 깊게 한 까닭인지 아니면 너무 친환경이라 효능이 떨어지는지, 적게 뿌린 이유인지 토양에서 올라오는 벌레인 좁은가슴잎벌레나 진딧물, 굼벵이가 배추나 무에 피해를 입힌다. 마늘밭에는 흙위에 솔솔 뿌리고 살짝 밭고르기를 해 볼 것이다. 유황가루는 분말이라 그냥 뿌리면 바람에 날아간다. 흙하고 버무려 뿌려준다. 고토석회 유황가루 
고구마 심었던 둥근 이랑 2개를 하나로 합쳐 평이랑으로 만든다. 마늘과 양파 심을 밭은 평이랑으로 만든다. 오늘 삽질은 여기까지.

○ 씨마늘 준비 작년에 심어 올 유월에 수확하여 씨마늘로 사용하려 남겨둔 마늘이다. 육쪽마늘이다. 하우스에 걸어 놓았더니 잘 말랐다. 1접이다. 1접은 100개의 마늘통이니, 마늘통 하나가 육쪽이고, 이것을 모두 쪼개어 600쪽의 씨마늘을 심는다는 계산인데 마늘쪼개기하다 불량마늘이나 작은 마늘을 골라내면 500 ~ 550개 정도의 씨마늘을 심게 될듯하다. 마늘 한접을 심어 5접 정도 생산하면 성공이다. 
○ 씨마늘 쪼개기, 선별하기 마늘통을 쪼개 마늘쪽을 가르고 분리하는 일이 보통일은 아니다. 마늘통 100개를 쪼개는데도 아니고 허리야~ 소리가 절로 나는데 마늘을 수십접씩 심는 농가는 마늘쪽 가르기, 쪼개기에 일손이 많이 가 고충이 크겠다. 마늘쪽과 쪽사이에 끼여 자라 납작한 마늘쪽은 제외한다. 작은 마늘, 상처가 난 마늘, 그리고 썩거나 병든 마늘쪽도 골라 낸다. 씨마늘 불량마늘 
○ 마늘 소독하기 마늘을 심기 하루전에 씨마늘을 소독해 심는다. 내 경우는 목초액이나 유황액 500 ~ 700배 액에 1시간 정도 담가 두었다 반나절 정도 그늘에서 말린후에 심는다.
○ 마늘심는방법 마늘 심을 밭의 골과 골사이는 20cm 간격이 되도록 호미로 골을 낸다. 골 깊이는 6 ~ 7cm 깊이, 씨마늘을 놓는 간격은 10cm가 알맞다. 골따라 씨마늘을 10cm 간격으로 놓고 4 ~ 5cm 정도 흙을 덮어준다. 씨마늘의 뿌리부분이 밑으로 가게 똑바로 심어야 하며 비스듬히 놓거나 거꾸로 심으면 마늘통 모양이 비뚤어 지게 자란다. 흙을 덮어준 다음에는 뿌리부분이 밀착되도록 흙을 손바닥으로 토닥토닥 다독여 준다. 마늘 심을 밭에 유공비닐로 멀칭해 심거나 맨 비닐을 멀칭해 구멍을 뚫어 심어도 되며, 비닐 멀칭을 하지 않고 심어도 된다. 마늘 전용 유공비닐은 마늘을 심기 좋게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려 있다. 유공비닐을 이용하면 잡초제거와 물주기의 번거로움을 덜수가 있게 된다. 비닐 멀칭을 하지 않고 마늘을 심었다면 왕겨나 볏짚으로 덮어준다. 11월 중순경 날이 더욱 추워지면 흰비닐로 덮어 보온해 준다. 덮어준 비닐은 이듬해 3월이 되면 벗겨낸다. ○ 마늘재배법 - 월별 마늘 관리법 (한지형 마늘, 중부지방 기준) ○ 마늘재배법 - 월별 마늘 관리법 (한지형 마늘, 중부지방 기준) - 텃밭의 커피향 | 월 | 마늘밭에서 해야할 일 | 주의 사항 | 10월 | 씨마늘 준비 마늘밭 만들기 마늘쪽 가르기 마늘심기 | 튼실한 씨마늘 준비, 마늘가르기, 불량마늘 선별하기 마늘심기 2주전 석회 넣고 밭갈기 마늘심기 1주전 퇴비 넣고 밭갈기 마늘심기 1-2일전 토양살충제 뿌리기 마늘골 간격 20cm, 마늘간격 10cm, 골깊이 6-7cm, 흙덮기 4-5cm | 11월 | 비닐 덮어주기 | 땅이 얼기전에 비닐을 덮어준다 영하의 기온이 2-3일 계속 이어진다는 기상 예보가 있을때 덮어준다 비닐 대신에 왕겨와 볏짚으로 덮어 주기도 한다 | 3월 | 비닐 걷어주기 웃거름 주기 김매기 | 웃거름은 3월 상순부터 4월 하순까지 2-3회 준다 4월하순이후에는 웃거름을 주지 않는다 웃거름을 줄때는 마늘잎에 닿지 않도록 주어야 하며 웃거름을 준후에는 물을 준다 유공비닐은 수확직전에 벗기거나 수확때까지 벗기지 않아도 된다 | 4월 | 물주기 웃거름주기 비닐에 흙 덮어주기 | 4~ 6월은 마늘통이 커지는 시기, 10일 간격으로 물을 충분히 준다 오후 해지기 직전에 물을 준다 비닐을 걷어 내지 않았다면 흙을 1-2cm 두께로 덮어준다 | 5월 | 물주기 마늘쫑 자르기 | 마늘쫑은 뽑지 말고 잘라 준다 마늘쫑 나물하기 | 6월 | 수확하기 건조하기 저장하기 | 6월 중하순경 마늘잎이 2/3 정도 누렇게 변할때 수확한다 맑은날을 택하여 수확한다 수확한 마늘은 줄기와 뿌리를 잘라낸다 바람이 잘통하는 곳에서 1달이상 말려 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