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추나무는 늦가을부터 봄 싹트기 전 휴면기에는 언제나 심을 수 있다 (남부지방에서는 주로 가을에, 중부지방에서는 이른 봄에 심음)
○ 나무 심은 이듬해부터 1그루당 퇴비 5kg, 과수용 복합비료 0.3~0.4kg을 기준으로 넣어준다(묘목 심었을 경우). 퇴비 전량과 복합비료의 1/3은 가을에 밑거름으로, 나머지 2/3는 웃거름으로 준다. 성목이 될 때까지 그 량을 매년 10%씩 늘림(복합비료 대신 조경용 고형비료를 묻어주어도 됨)
○ 대추나무는 봄에 싹틈과 가지 자람이 다른 과수보다 아주 늦게 시작함 (남부지방도 5월 상순에야 순이 나오기 시작). 그러나 6월이 되면 새 가지가 쑥쑥 자라 금방 꽃이 피고 7월들어 열매를 맺음. 이때가 비료 요구량이 가장 많을 때이다. 즉 이시기에 웃거름을 주어야 한다. 일반 과수의 웃거름은 5월 하순 ~ 6월 상순에 주지만, 대추나무의 웃거름은 열매가 다 맺힌 7월 상순경에 준다.
○ 대추나무는 햇볕이 잘 쪼여야 하므로 큰 나무나 건물 뒤 그늘에 심어서는 안됨
○ 싹이 늦게 나오는 편이지만 늦봄부터 늦여름까지 세 번 꽃을 피운다. 6월하순에 가장 많이 피지만 7월 하순까지도 핀다. 그러나 이렇게 여러 번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히지만 열린 열매들은 모두 한꺼번에 (가을에) 익는다. 열매가 열리는 가지도 1년생이든 다년생이든 가리지 않는다.
○ 가장 문제가 되는 병충해는 대추나무 빗자루병이다. 마이코플라스마 균에 의해 전염되는데, 대추가 너무 많이 열려 수세가 약해지면 잘 걸린다. 이 병에 걸리면 두어 해 못가 큰 나무도 죽어버린다. 처음에는 빗자루 가닥 같은 짧은 가지가 한 두군데서 촘촘히 나오지만 얼마 못가 온 나무로 번지고, 끝내는 뿌리로 번져 순식간에 죽고만다. 이 병에 결리면 치료가 어렵다. 테라마이신 수간 주입으로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으나, 전원에서는 뽑아버리고 새 땅에 다시 심는 것이 낫다.
※ 빗자루병 방제(예방)법 : “메프유제”를 살포하여 매개충을 방제하는 예방법과 초기 발병 상태에서 “옥시테트라사이클”이 포함된 항생제를 수간 주입(국립산림과학원),
○ 접목 묘를 사다 심었을 경우, 2년째부터 대추가 열리나 모두 따버리고 3년째부터 수확해야 초기에 나무가 충분히 큰다.
➡⏩➡➡
⏩대추나무 병충해
(약제살포 시기 등~)
☞사용시기 방제대상 해당약제
➡1회(휴면기)
☞월동병해충 : 석회유황합제
➡2회(4월하순)-발아기
세균성구멍병, 주머니병 :부라마이신 수화제
진딧물류, 잎말이나방: 리무진 캡슐 현탁제
➡3회(5월하순)-신초생장기
줄기썩음병 : 싱그롱 액상수화제
진딧물 : 세티스 입상수화제
➡4회(6월상순)
잿빛곰팡이병 :동부포리옥신 수화제
응애류 : 지존 액상수화제
➡5회(6월 중하순)
역병, 탄저병 : 후론사이드 수화제
나방류 :스투어드골드 액상수화제
➡6회(7월 중순)
잿빛무늬병, 녹병, 잎마름병 : 동부훼나리 수화제
마름무늬매미충 : 코니도 수화제
➡7회(8월 중하순)
탄저병, 녹병 : 에이플 입상수화제
마름무늬매미충, 심식나방 : 트레본 수화제
➡8회(9월)
녹저병, 탄저병 : 카자테 입상수화제
잎말이나방, 마름무늬매미충 : 선발대 입상수화제
➡9회(10월)
줄기썩음병 : 톱네이트엠 수화제 / 동부베노밀 수화제
※ 중간 중간 병이나 해충이 발생하면 적용약제를 사용해주면 되며, 제초제는 풀이 자랐을 때 뉴풀마기 액상수화제를 사용하면 좋음, 꽃이 피는 시기에는 꽃에 안전하고 꿀벌독성이 없는 약제를 사용하는 게 좋음
※ 병,해충 발생초기에 병해충을 직접 들고 농약방 가서 문의 후 약제구입
※ 참고로 비선택성제초제로 잡초를 완전 고사시키는 걸 "청경재배"라 하며, 요즘 과수원들은 "초생재배"를 많이 함. "초생재배"란 잡초를 살려두면서 예초기 등으로 베는 것임. "초생재배"의 장점은 토양수분증발방지, 토양침식방지 등. 단점은 응애류가 많아짐(응애류는 잡초에서 서식하다가 나무로 기어올라감)
■ 석회유황합제
1) 살포시기 : 꽃이나 잎이 피기 직전에 비중 4~6도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2) 적용대상 : 식물에 있어서 거의 만병통치약으로 불리울만큼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흰가루병과 깍지벌레 구제에 효과적이다.
3) 주의사항
0. 누애에 대한 독성이 강하므로 뽕밭 주위 살포금지
0. 꿀벌에 대한 피해 예상되므로, 꽃이 피어있는 시기에는 사용금지
0. 기온이 높고 볕쪼임이 강한 때와 수세가 약한 경우에는 약해가 우려되므로 주의
0. 보르도액, 동제제, 기계유유제 등과 섞어쓰지 말고 보르도액 살포 후 유황합제를 살포할
때는 적어도 2-3주 동안 간격을 두고 살포하고, 기계유유제를 살포할 경우 1개월 간격을 두고
살포
0. 살포시 약액이 차량에 묻어 지워지지 않는 피해가 있으므로 바람이 없는 날이나 주말에 살포한다.
※ 대추나무의 경우 잎이 피기 전인 4월말 이전에 석회유황합제 또는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해 주어야 함. 미 살포시 벌래가 잎을 갉아먹어 결실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음.


'과수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다래나무 전지교육 다녀왔어요. (0) | 2017.01.24 |
---|---|
[스크랩] 복숭아순나방 제때 방제로 낙과 예방하세요 (0) | 2016.10.04 |
[스크랩] 대추과원 복숭아심식나방 지금이 방제 적기 (0) | 2016.10.04 |
[스크랩] 보은대추 병해충 방제력 (0) | 2016.10.04 |
[스크랩] 대추 병충해 방제 시기 및 농약 (0) | 2016.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