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스크랩] 수확기 농업기계 교통사고·농작업 안전사고 예방

푸른솔나무 2015. 10. 1. 14:52

 

[수확기 농업기계 교통사고·농작업 안전사고 예방]


□ 10월은 농기계 관련 교통사고가 가장 높은 기간 □ 
 ❍ 농기계 사고는 교통사고와 농작업사고로 구분
  - 농기계 교통사고는 도로에서 농기계의 단독사고와 농기계가

   사람, 자동차, 오토바이 등과 충돌 및 추돌 등에 의한 사고를 포함
   * 농기계 관련 교통사고: 수확철(10~11월) 동안 32%가 발생(사망자 140명 내외)
  - 농작업사고는 작업준비 및 정비, 이동, 농작업 중에 발생한 사고
 ❍ 농기계 교통사고 주요원인
  - 전방주시태만 79.0%, 판단잘못 6.4%, 심신건강상태 불량 5.9% 등


  □농기계 교통사고 유형□
 ❍ 농기계가 가해자인 경우



트랙터가 무리하게 좌회전



경운기가 차도에서 무리하게 농로진입





경운기가 무리하게 좌회전



경운기가 농로에서 무리하게 우회전 차도진입



도로상에서 교차 진행중 충돌


 ❍ 농기계가 피해자인 경우



주간에 트럭이 도로변 주차된 경운기를 추돌



야간에 승용차가 앞서가는 경운기를 추돌



트럭이 무리하게 앞지르기 하다 트랙터를 추돌



승합차가 앞지르기하다 트랙터를 추돌



음주운전 오토바이가 경운기를 추돌



빗길에서 과속 차량이 경운기를 추돌


  □농작업 안전사고 예방 대책□
 ❍ 농기계 농작업 안전을 위한 기본사항
  - 농작업자는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도록

    평소부터 안전의식을 갖고 작업을 실시
  - 농업용 기계·기구의 일상점검이나 적정한 조작 등을 통해

    농작업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주변 환경도 배려
  - 농작업 안전에 관한 교육 및 홍보활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안전의식을 높이고, 도로교통법 등 관계법령을 숙지하는 등

    안전한 농작업을 위해 노력
 ❍ 농기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장치 부착
  - 경운기, 트랙터 등 도로주행 농기계에 대한 경광등 부착
  - 저속주행 표지판 및 작업기에 반사판 부착
 ❍ 농기계 농작업에 종사하는 자의 제한
  - 음주자, 약물을 복용하고 있어 작업에 지장이 있는 자
  - 병, 부상, 과로 등으로 정상적인 작업이 곤란한 자
  - 임신 중이거나 해당 작업이 임신 또는 출산과 관련하여 기능장애 등

    건강상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자
  - 연소자 및 미숙련자(숙련 작업자의 지도하에 실시하는 경우 제외)
 ❍ 농기계 농작업을 실시할 때의 유의사항
  - 작업자의 건강관리 및 계획적인 작업의 실시
  - 농작업 환경의 점검 및 개선, 농기계 및 농기구 등의 점검
  - 여성, 연소자 및 고령자의 배려, 주변환경에 대한 배려
  - 복장 및 보호구, 농작업 사고의 대비, 농협공제 등의 가입


  □안전사고 유형□

예취기 사용 전 풀속에 병, 돌 등을 제거
예취기 시동 전 안전레버 확인
동력예취기의 톱대용 사용 삼가


동력예취기 사용 시 15m이내 접근 삼가
막힌 짚 제거 시 엔진 정지 후 작업
논머리 벼 탈곡 시 콤바인을 정지 후 작업

출처 : 텃밭사랑모임
글쓴이 : 미르(논산) 원글보기
메모 :